728x90 반응형 공무원113 경제학 - EC방정식 △M/M(공급증가율) + △V/V(유통속도) = △P/P(경제성장률 )+ △Y/Y(물가상승률) 공유=경물 2021. 3. 21. 분류 vs 구분 vs 구별 '분류'는 '종류에 따라서 가름'이라는 뜻의 어휘로, '자료를 세 종류로 분류하다./영화를 청소년용과 성인용으로 분류하다./우편물을 지역별로 분류하다.'와 같이 씁니다. '구분'은 '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눔'이라는 뜻의 어휘로, '열차의 좌석을 흡연석과 금연석으로 구분해 놓았다./읽을 책을 읽은 책과 구분하다.'와 같이 씁니다. '구별'은 '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.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'이라는 뜻의 어휘로, '신분을 구별하다./공과 사를 구별하다/선악을 구별하다.'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. 출처 : www.korean.go.kr/front/onlineQna/onlineQnaView.do?mn_id=216&qna_seq=87187 뇌피셜) 구분이 분류보다 큰 개.. 2021. 3. 21. 경제학 - 화폐공급의 증감 원인 화폐공급 증가 1. 중앙은행이 자금난을 겪고 있는 시중은행들로부터 국채를 매입 (시중은행 ----국제----> 중앙은행) 2. 시중은행들이 재무 건전성 보강을 위해 국제결제은행(BIS) 기준의 자기자본비율 높일때 자기자본 비율 계산법 (자기자본비율 = 자기자본 / 총자산 * 100)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. 이 수치가 높을수록 자산대비 자본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크다는 것이다. 무슨 뜻인가? 안전하다는 뜻이지. 안전하면 화폐의 공급량 역시 증가하겠지? 돈이 풍족한 은행일수록 사람들이 더 많이 돈을 맡기겠지? 화폐공급 감소 1. 경제위기로인해 실물자산에 대한 선호도 ↑, 화폐공급 ↓ 예컨대, IMF 당시 금 모으기 운동을 왜 했을까? 금값이 가치가 컸기 때문이야. 실물자산의 가치가 높아지면 대척점인 화폐의.. 2021. 3. 21. 경제학 - 채권과 이자율의 관계 채권 구매해도 만기수익률은 불변 채권 구매하면 이자율은 상승 이자율이 하락하면? 채권가격이 상승함 왜일까? 그것은 주식의 연관성과 연관지어서 가정해보자. 주식이 채권보다 나은 점은 더 많이 돈을 벌 수 있고, 반대로 많이 잃을 수도 있지 유동성이 커 반면 채권은 주식보다 이자율이 적지만 오래 묵히면 이득을 볼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아져. 그러면 이자율이 하락하면, 상대적으로 주식보다 채권에 눈이 가겠지. 주식 이자율이 떨어지니까. 그래서 이자율이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상승합니다. 채권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감소하겠죠. 비싸니까. 2021. 3. 21. 이전 1 ··· 10 11 12 13 14 15 16 ··· 29 다음 728x90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