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Study/통계45

이산변수 vs 연속변수 이산변수(discrete variable)란 이산 할 수 있는 변수를 의미 합니다. 이게 뭔 소린가 싶지만 다시 말하자면 하나하나 셀 수 있는 변수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아파트의 층 수, 한 회사의 직원의 수, 불량품의 개수 등이 이산변수 입니다. 한 회사의 직원 수가 100.5 명은 될 수 없잖아요. 연속변수(continuous variable)란 이산변수와 다르게 변수의 각 값 사이에 무수히 많은 또 다른 값들이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사람의 키, 몸무게, 나이, 한 가구의 소득 등이 그것 입니다. 이산변수와 연속변수의 차이는 정수와 실수의 차이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네요. 2020. 5. 27.
작업가설 귀무가설 대립가설 통계적가설 o 검증과정에 따른 가설 유형 1. 연구가설-과학적가설, 작업가설, 실험가설이라고 불림,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가설로서 검증될때까지 조사문제의 잠정적 해답으로 간주되는 가설. a는 b와 관계가 있다. 라는 문장 형식이다. a 할수록 b하다 두개 이상의 모집단 도는 변수간에 차이가 있다는 형태로, 즉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다.라는 형태로 설정되는 가설. 일반적으로 가설이라고 하면 연구가설을 의미한다. 2.귀무가설-영가설이라고도 불리우며, 연구가설에서 설정한 것을 부정하거나 기각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설, 연구의 목적은 대립가설을 설정하므로 오히려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다. 문장형식은 a와 b는 관계가 없다. 3.대립가설-귀무가설에 대립되는 가설, 귀무가설이 거짓일 때 채택하기 위해.. 2020. 5. 21.
예비조사 vs 사전조사 1. 조사목적 1. 1 예비조사 : 연구주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목적으로 시행(연구가설의 명확화) 1. 2 사전조사 : 작성된 설문지의 예상치 못했던 오류를 찾아내기 위해 시행(설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서 검증) 2. 조사시기 2. 1 예비조사 : 설문지 작성 전 2. 2 사전조사 : 설문지 작성 후 본조사 전 3. 조사방법 3.1 예비조사 : 탐색조사, 문헌조사, 전문가조사(비구조적 조사) 3. 2 사전조사 : 본조사와 동일하게 표본의 수만 줄여서 조사(구조적 조사) 2020. 5. 21.
집단조사 [ 집단조사 ] 집단조사는 응답자를 한자리에 모아놓고 설문지를 배부한 다음 응답자가 설문지에 직접 기입한 후에 회수하는 '집단질문지범'입니다. 집단조사의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 장점 - 간편하고 신속하며 시간과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. - 우편, 면접조사에 비해 자료수집에 있어서 신속성과 효율성이 높다. - 면접자의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. - 타인의 참여를 줄여 비밀을 보장할 수 있으며 질문이 표준화되어 있다. - 응답률이 높고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가 가능하다. - 직업별 조사적용이 가능하다. - 적은수의 면접원으로 많은 수의 면접을 할 수 있다. 단점 - 모집단이 불안정하다. - 보조도구 사용이 불가능하다. - 전화중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- 사적인 질문에 대한 .. 2020. 5. 21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