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tudy/경영학

민쯔버그 - 조직의 다섯 가지 부문

by DOUBLE_PLANET 2021. 3. 12.
728x90
반응형

1) 단순구조 (Simple structure) : 중소기업, 소규모가게, 창업회사 등 단순하고 정교하지 않은 형태

- 특징 : ① 계층이나 직무할당이 단순  ② 공식화정도가 낮음  ③ 권한이 최고경영자에게 집중

- 장점 : ① 신속성과 유연성으로 의사결정이 매우 빠름 -> 스피드와 혁신 추구

           ② 비관료적 -> 진취적, 유지비용 절감

- 단점 : ① 최고경영자가 사망하거나 부재시 기업에 위험

           ② 최고경영자의 판단 여하에 따라 조직의 성패가 좌우됨

* 전문기술부문과 지원부문이 전혀 없는 형태로 전략부문(최고경영자층)에 권력이 집중됨

* 중간계층이 있기는 하나, 유명무실하며 집권화수준이 매우 높음

* 조직의 전략 부문의 힘이 강하게 작용하는 조직에서 주로 나타난다.

 

 

2) 기계적 관료구조 (Machine Bureaucracy) : 우체국, 전매층 등 같이 작업이 일상적이고 단순하며, 오래된 대규모 조직, 대량생산 및 정부조직에서 볼 수 있는 형태

- 특징 : ① 반복적인 작업수행을 하는 지역 ② 조직 전반에 많은 규칙과 규제 존재

           ③ 집권화 및 공식화 수준이 높음 ④ 단순조직보다 발전된 형태

- 장점 : ① 업무수행의 정확성, 신속성, 지속성, 일관성 -> 효율성

- 단점 : ① 과도한 분업화와 작업의 단순화 -> 종업원의 무사안일한 태도

           ②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 부족, 고객 서비스 부족 ③ 혁신에 대한 저항이 큼

* 기술전문부문이 조직의 핵심 부문으로 등장

 

 

3) 전문적 관료구조 (Professional bureaucracy) : 자율성이 부여된 조직으로 복잡하고 안정적인 환경에 적합하며 전문성이 요구되고 일괄통제가 어려울 때 나타나는 조직구조형태 Ex) 대학, 종합병원

- 특징 : ① 작업지시나 통제규정이 없음 ② 집권화와 분권화가 동시에 이루어짐

           ③ 기술 및 지식의 표준화가 중요한 수단

- 장점 : ① 구성원에게 폭넓은 재량권이 주어짐 -> 고도로 동기부여가 이루어짐

           ② 업무에 대한 책임의식 -> 일과 고객에 대한 몰입정도 높음

- 단점 : ① 전문가들 간의 조정문제 Ex) commitment

           ② 전문가 재량권의 남용에 따른 고객과의 갈등문제

* 지원스텝 부문은 전문적 관료구조로, 전문가들로 구성된 핵심운영층이 핵심조직

* 조직의 중간라인 부문은 분권화를 추구하는 힘을 행사

* 전문가 부문은 표준화를 추구하는 힘 행사, '작업과정의 표준화'에 의한 조정으로 발휘

* 의사는 그가 속한 병원의 핵심운영부문에 속함.

 

4) 사업부제 구조 (Divisionalized structure) : 제품이나 고객 또는 지역별로 분할되고 어느정도 본사로부터 독립된 상태에서 사업활동에 필요한 권한을 부여받은 이익 책임 단위들로 구성된 조직 (ex: 올리브영)

- 특징 : ① 각각의 사업부를 관리하는 하나의 본부를 갖춘 시장 중심의 구조

           ② 사업부는 각각의 성과시스템을 토대로 독자적 운영

           ③ 각 사업부에 자율권을 부여

- 장점 : ①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가능 (제품, 지역, 고객별)

           ② 사업부를 통한 위험의 분산 - 포트폴리오 투자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음

           ③ 경영자 및 관리자의 훈련 기회 제공

- 단점 : ① 사업부의 성과통제시스템이 관리자의 혁신능력에 장애

           ② 사업부 운영시 조직의 규모와 연혁을 고려해 시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> 시장에서 봉변을 당할 수 있음

* 사업부제 구조는 각 사업본부의 책임자인 중간관리층이 조직의 핵심부문

 

 

5) 임시특별구조 (Adhocracy) : 한 특정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일시적인 조직으로 업무수행 이후 해체되고 다른 프로젝트를 위해 또 다시 재구성되는 프로젝트 팀의 형태 (TF)

- 특징 : ① 행동의 공식화가 요구되지 않는 유기적 구조

           ② 조직의 구조가 유동적, 경계가 불분명

           ③ 동태적이고 불확실한 환경구조에 적합

- 장점 : ① 고객의 욕구나 시장의 변화에 개별 팀을 프로젝트 간에 이동시킴으로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신속하게 대응 Ex) 광고회사, 컨설팅회사 등

- 단점 : ① 권한의 모호성(주도권의 문제)과 효율성의 문제 -> 갈등과 권력투쟁 발생

           ② 구조의 변환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적합성이 문제 -> 의사소통의 장애

* 임시특별구조는 완전한 수직구조가 아니어서 위계질서가 제대로 잡혀있지 않으므로 갈등·권력투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위계질서를 확립할 필요가 있음

 

 

부분출처 : 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tran01&logNo=100108388970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