등량곡선의 기울기 = 한계기술대체율
● 장기생산함수 :
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가변적일 때
재화의 생산량과 생산요소간의
기술적 결합관계
Q= f (N, K)
Q 재화생산량
N 노동투입량
K 자본투입량
→ 노동의 투입량과 자본의 투입량은
모두 가변적이다.
1. 등량곡선(isoquant curve)
= 등생산량곡선(equal product curve)
● 등량곡선의 개념 :
동일한 생산량을 생산할 수 있는
두 가지 생산요소의
여러 가지 배합점의 궤적
[그림] 등량곡선
자본
노동
● 등량곡선의 특성 :
① 등량곡선은
우하향의 기울기를 갖는다.
② 등량곡선은
서로 교차하지 않는다.
③ 등량곡선은
원점에 대하여 볼록하다.
→ 한계기술대체율 MRTS N,K 체감
④ 등량곡선은 원점에서 멀수록
더 많은 생산량수준을 나타낸다.
[그림] 등량곡선의 형태와 생산량 증대의 방향
● 등량곡선과 무차별곡선의 차이점 :
① 등량곡선은 생산량의 크기를
구체적인 숫자로 표시함.
→ 기수적으로 표시
② 무차별곡선은 총효용을
구체적인 숫자로 표시할 수 없음.
→ 서수적으로 표시
2. 한계기술대체율 (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of N in terms of K)
① 일정한 생산량을 유지하면서
노동을 1단위 추가적으로 증가시켰을 때
감소해야 하는 자본량
→ 등량곡선상의 한 점에서의
접선의 기울기
② 하나의 등량곡선상에서 한 생산요소를
다른 생산요소로 대체할 수 있는 정도
③ 노동투입량을 1단위 증가시키면서도
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
자본량을 몇 단위 감소시켜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
④ 생산과정에서 d K 만큼의 자본이
d N 만큼의 노동으로 대체되어도
생산량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경우의
교환비율
MRTS N, K
= - d K/ d N
[그림] 등량곡선의 기울기
● 한계기술대체율체감의 법칙 :
한계기술대체율은 두 가지 생산요소 (노동과 자본)의
한계생산량의 비율을 나타내므로
생산요소의 한계생산량이 체감하는 경우
한계기술대체율은 체감한다.
d N MP N
= -d K MP K
d N 상승
생산량은 d N MP N 만큼 증가
d K 상승
생산량은 d K MP K 만큼 감소
MRTS N K
= - d K/ d N
= MP L/ MP K
[그림] 한계기술대체율체감의 법칙과 등량곡선
[그림] 특수한 경우의 등량곡선
● 요소집약도 :
① 노동과 자본의 투입비율
K/ N
② 원점에서 등량곡선상의 한 점에 연결한
직선의 기울기
[그림] 요소집약도
'Study > 경제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고투자의 감소 >> 연도의 GDP 감소 (0) | 2021.01.25 |
---|---|
경제학 - 환위험 (0) | 2021.01.23 |
생산가능곡선 - 경제학 (0) | 2020.02.17 |
경제학 - 소비함수에 관한 이론 (0) | 2020.01.09 |
경제학 - 최저임금제 (0) | 2020.01.09 |
댓글